본문 바로가기
경제.정책 정보

기후동행카드'서울시 내년부터 월 6만5천원으로 대중교통 이용'

by 연술 2023. 9. 12.
반응형
반응형
기후동행카드란, 월 6만5천원 짜리 교통카드 하나로 서울 시내 지하철, 시내·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원스톱 무제한 이용할수 있는 카드를 말한다.

'월 6만 5천 원 무제한' 친환경 교통혁신 기후동행카드 내놓는다.

■ 서울에도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 이용권'이 나온다. 서울시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고물가 시대 가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무제한 정기 이용권을 도입, 내년(2024) 1~5월 시범 운영과 보완을 거쳐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 시행할 계획이다.

 

■ 서울시는 '월 6만 5천 원'짜리 교통카드 하나로 서울 시내 지하철, 시내·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원스톱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기후동행카드(Climate Card)⌋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 ⌈기후동행카드⌋ 도입으로 연간 1만 3천대 가량의 승용차 이용이 감소, 연 3만 2천 톤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약 50만 명의 시민이 1인 당 연간 34만 원 이상의 할인 혜택(따릉이 이용 포함)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 내년(2024) 1~5월 시범 판매될 ⌈기후동행카드⌋는 6만5천 원으로 구매 후 한 달 동안 서울 권역 내 지하철과 시내·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 등 모든 대중교통수단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 시민 이용 편의를 위해 실물 카드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앱으로도 이용할 수 있으며, 실물 카드는 최초에 3천 원으로 카드를 구매한 뒤에 매월 6만5천 원을 충전하여 이용하면 된다.

■ 서울 시내 에서 승·하차하는 지하철 1~9호선을 비롯해 경의·중앙선, 분당선, 경춘선, 우이신설선, 신림선까지 모두 이용(기본요금 상이한 신분당선 제외)할 수 있다.

  서울에서 승차해 경기·인천 등 다른 지역에서 '하차'하는 경우에는 이용 가능하지만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승차하는 경우엔 기후동행카드 이용이 불가능 하다.
※ 서울과 타 지역 버스를 구분하는 기준은 '노선 면허'를 얻은 지역을 중심으로 하며, 각 버스 노선번호를 검색하면 해당하는 면허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1시간 이용권'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으며, 시는 향후 리버버스 등 새롭게 추가되는 차세대 친환경 교통수단까지 확대 운영해 나갈 계획이다.

■ 서울시는 종사자 100인 이상 기업에서 '기후동행카드'를 구매하여 임직원에게 배부할 경우에 교통유발부담금 감면 등 추가적인 혜택을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 강력한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정책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Climate Card)⌋가 대중교통, 공공자전거를 상호 연계해 주므로 대중교통 인프라가 제한적인 지역에서 지하철역·버스정류장 이동을 원활하게 연결, 대중교통 사각지대 해소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내년 도입 예정인 한강 리버버스등 차세대 친환경 교통수단과도 연결되면 다양한 교통수요를 충족시키고 승용차 이용자의 대중교통 전환도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 오세훈 서울시장은 "친환경 버스 교체, 공공자전거 확대, 전기택시 보급 등 수송 분야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하드웨어를 교체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교통 분야 기후위기 대응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가 핵심"이라 강조하며 "기후위기 대응뿐 아니라 교통요금 인상으로 느끼실 가계부 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기후동행카드(Climate Card)⌋를 안정적으로 도입, 운영하는 한편 앞으로 시민의 마음을 어루만지고 동행하는 교통정책을 지속 발굴하고 펼쳐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자료출처 서울시-

 

반응형

https://analytics.naver.com/summary/dashboard.html"); wcs_do();